가난한 사회계층인 주인공들
수많은 사업을 모두 실패해 실패자의 인생을 살아가는 아버지 김기택 (송강호역), 과거 운동선수 출신이었던 어머니 박충숙(장혜진역), 사수생 아들 김기우(최우식역), 미술대학 지망생 딸 김기정(박소담역)은 네 식구로 반지하 집에서 입에 풀칠하면서 가난하게 살아가는 가족이다. 영화의 제목대로 그들은 자신의 힘으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근처 카페나 다른 집의 와이파이를 얻어 쓰고 피자 박스를 접는 아르바이트를 하면서 어렵게 생계를 유지하며 살아간다. 지하인 그들의 집 안에는 벌레가 득실거리고 밖에 지나가는 취객들이 노상방요하는 장면이 아래서 적나라하게 보이는 반지 인생이다.
기생할 기회가 생기다
그러던 어느 날 피자집 아르바이트를 구하고 온 가족이 생계가 생긴 이 상황을 이를 기뻐하고 있는 상황에서, 친구 민혁의 집으로 찾아오게 된다. 민혁은 명문대에 다니고 있는 학생으로 한 고교생 다혜의 과외를 하고 있다. 민혁은 기우에게 유학을 떠나게 되었다는 것을 알리고 자신이 가르치는 다혜의 과외를 맡아달라고 부탁한다. 그는 자신의 대학동기들은 다혜를 여자로 보고 노릴 것이고 그 들 보다는 수능 입시를 네 번이나 경험한 기우가 나을 거라고 말해준다. 그렇게 기우는 다혜의 아르바이트를 시작한다. 그렇게 기우는 여동생 기정의 도움으로 연세대학교 경영학과 재학증명서를 위조해서 다혜의 집으로 간다. 다혜의 아버지는 성공한 IT회사의 CEO로 다혜의 집은 건축가 남궁현자 선생님이 건축한 집으로 어마어마한 부자로 나온다. 그 집에 가정부인 국문광(이정은역)을 대면하고 문광의 안내를 받아 다혜의 엄마인 최연교(조여정)을 만난다. 다혜의 엄마는 선생님의 실력을 확인하고 싶다면서 과외수업에 참관하게 되고 기우는 공부를 하고 있는 다혜의 맥을 잡으며 긴장한 것을 확인하고는 "문제를 잘 푸는 것보다 치고 나가는 것이 더 중요해. 실전은 기세야."라고 말한다. 이 후 그럴싸한 말들로 엄마를 설득하는데 성공한 기우는 이제 과외비를 선불로 받게 된다. 이제 온 가족이 피자 아르바이트가 아닌 과외로 먹고살 기회를 얻게 된 것이다.
그러던 도중 다혜의 동생인 어린 다송이 인디언 활을 쏘면서 등장하고 다혜의 엄마는 다송이 그림 그리기를 좋아한다고 말한다. 그러면서 다혜의 엄마는 다송이의 그림을 보여주면서 그에게 재능이 있음을 뽐낸다. 이를 듣고 머리가 번뜩인 기우는 자신의 사촌 동생이 일리노이 주립대학교에 다니는 제시카인데, 미술 선생으로 유망하고 소문이 났다고 말하며 자신의 동생을 다혜의 엄마에게 추천한다.
다혜는 그런 와중에 기우에게 관심을 갖게 되고 제시카 선생님과의 관계를 묻지만 그런 기우는 다혜에게 키스를 하면서 둘의 관계는 남녀관계로 바뀌어 간다. 다혜는 사춘기 소녀답게 적극적으로 기우에게 접근하고 다가가며 기우 역시도 이를 받아들인다.
한편 집에 오게 된 기정은 다송과 수업을 하는데, 다혜의 엄마는 산만한 모습은 사라지고 기정에게 예의바르게 인사하고 수업을 받는 다송의 모습을 보고 깜짝 놀라게 되고 이 후 그림을 보면서 특별한 표식이 있다며 초등학교 1학년 때 다송이 유령을 보았다는 트라우마에 대해서 털어놓게 된다. 이를 기회로 생각한 다송은 역시 화려한 연변으로 다혜의 엄마를 홀리게 된다. 집에 가는 길 다혜네 운전기사는 기정을 데려다주게 되고 기정은 또다시 머리가 번뜩이며 아버지를 그 집의 운전기사로 보내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자신의 속옷을 벗어서 뒷 자석에 놔두게 된다. 다음 날 회사에 출근하는 다혜 아빠는 뒷 자석에 놓여진 속옷을 발견하면서 기사를 의심하게 되고 이에 한 걸음 더 나아가 기정은 다혜의 엄마에게 자꾸 집에 데려다 준다고 하면서 치근덕거렸다는 말을 한다. 이후 기사는 잘리게 되고 그 자리에 기정의 아버지인 기택이 들어가게 된다. 여기에 더해 기정은 가정부마저 쫒아내고 자신의 엄마를 그 자리에 앉히면서 온 가족이 다혜 네 집에서 기생을 하게 된다. 그러던 어느 비오는 날 쫒겨난 가정부 문광이 집으로 돌아와 지하 방공호에 기생하는 자신의 남편에게 먹을 것을 전해주면서 사건은 시작 된다.
댓글